심리학

의사소통이란?

Sunny0923 2022. 12. 6. 16:44
반응형

의사소통이란? 의사소통 혹은 휴먼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사람의 의사나 감성의 소통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뜻이 서로 통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서 가장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능력이다. 
상호 간 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매체로 구어와 문어는 물론 몸짓, 자세, 표정, 억양, 모래, 춤 등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들까지 포함된다.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해 많은 도구와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일반거인 소통을 하는 데에는 거의 문제가 없다. 현대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소통 외에도 포털사이트나. SNS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도 불특정 다수와의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다. 의사소통의 영역으로는 자신과의 내재적 의사소통, 다른 사람과의 인적 교류, 그룹 내에서의 단체활동, 조직 내에서의 조직 내 교류, 문화를 초월한 문화 간 교류 등이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대화가 필요하다. 대화는 둘 이상의 실체 사이의 상호의 언어 소통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공손하고 예의 바르게 말해야 한다는 것으로 정중 어법이라고 한다. 이것을 나이가 어린 사람만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며, 남녀노소와 상관없이 정중 어법의 원리에 따라 상대방과 대화해야 한다. 

정중 어법은 겸손하게 말하는 요령, 자신을 스스로 낮추어 겸손하게 말하는 규칙인 겸양의 규칙, 내 탓으로 돌려 말하는 요쳥, 문제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표현을 하여 상대방이 이를 너그럽게 받아들이도록 말하라는 규칙인 관용의 규칙, 동의하며 말하는 요령, 서로 의견이 다를 때 차이점을 말하기보다 일치점을 강조하여 말하라는 동의의 규칙, 부담스럽지 않게 말하는 요령,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 대신 이익이 되는 표현을 하라는 요령의 규칙, 칭찬하며 말하는 요령, 다른 사람에 대한 비방을 최대한 줄이고 칭찬을 많이 하라는 찬동의 규칙이 있다. 이 규칙들을 적절하게 순서를 교대해 가면서 말은 주고받아야 한다는 것은 순서 교대의 원리라 한다.

대화에서는 협력의 원리가 있다. 이 협력의 원리는 언어학 특히 화용론에서 화자와 청자의 대화에서 논리적 함축이 아니어도 둘이 협력할 경우의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는 개념을 명시화한. 폰 그라이스의 대화 원리이다. 대화가 진행되는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목적이나 대화의 방향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기여하라는 것이다.
협력의 원리로는 대화의 화제와 연관된 말을 하는 관련성의 규칙, 관련성의 규칙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경우를 대화의 함축이라 한다. 대화의 목적에 필요한 만큼만 정보를 제공하는 양의 규칙, 진실한 정보만 제공하도록 노력하는 질의 규칙, 모호하지 않은 태도의 규칙이 있다.  

의사소통의 방법으로는 대화도 있지만 음성이 아닌 문자언어로 주로 받는 필담이 있다. 필담은 주현 분위기가 침묵을 필요로 하는 경우, 수화를 모르는 사람이 청각장애인과 의사소통할 때, 서로 물이 통하지 않은 사람끼리 공유하는 공통의 문어가 존재할 때 사용한다. 현대에서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의사표시의 경우 영어 회화나 듣기가 어렵더라도 필담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외국어에 익숙지 않을 때 필담이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지금 현대에서의 한자에서는 필담에 문제점이 있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의 글꼴이 모두 달라 자국에서 쓰이는 한자 지식만으로는 의사소통이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고 각각 자국에서만 쓰이는 고유 한자는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똑같은 한자라도 나라에 따라 의미가 전혀 다른 경우가 많아 과거에 비해 통용성이 현격히 떨어진다.

통신은 소식을 전하는 우편, 전신, 전화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정보나 의사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상호 간의 의사를 소통하지 않고서는 영위되지 않는다. 즉 표정이나 손짓·발짓에 의해 그리고 그림, 문자를 그리는 것을 통하여 자기 의사나 기타 정보를 타인에게 전달하고 후대의 사람. 장소를 달리하는 타인, 다수의 사람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장소를 달리하는 사람에게 정보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을 통신이라 한다. 인간과 사물에 관한 사상. 정보의 장소적 이동. 전달하는 서비스 행위이다. 현대 통신업으로는 우편업인 편지, 엽서 등 일반 우편물을 취급하는 보통 우편 업무와 등기 우편 업무 소포 우편 업무가 있으며 우체국에서 우편함이나 사서함을 설치하여 우편물을 수집하고 분류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배달한다. 전신전화사업인 국내 전신, 일반 시내전화, 장거리전화, 국제전신전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전신국, 전화국, 전신전화국, 무선전신국, 국제전신전화국, 선박무선 취급고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통신이용자의 발신과 수신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이에 필요한 매개 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전무시설이라 한다. 

전기 통신인 텔레커뮤니케이션은 전기적 방법으로 문자. 음성, 영상 등의 정보를 전하는 통신이다. 전기통신은 정보를 받아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 매개체. 신호를 받아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화하는 수신기인 3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법령에서는 전기통신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전기통신 기본법에서 전기통신이란 유선, 무선, 광선 및 기타의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부호, 문언, 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학대란?  (0) 2022.12.13
대인 커뮤니케이션이란?  (0) 2022.12.08
편집성 성격장애란?  (0) 2022.12.03
군사심리학이란?  (0) 2022.12.02
인지부조화란?  (0) 2022.12.02